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예술가 들여다보기48

프랑스의 색채화가, 앙리 마티스 "나는 사물을 그리지 않는다. 나는 오직 사물간의 차이점을 그린다."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 1869~1954 법률가에서 화가로 앙리 마티스는 프랑스 북부 르 샤토 캉브레시에서 태어나 법률을 공부하며 재판행정담당 서기로 일했습니다. 1889~1890년 처음으로 드로잉 수업을 듣기 시작했으며, 몇 년 후 맹장염 수술을 받은 후 오랜 회복기 동안 그림에 대한 열정이 눈을 떠,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습니다. 1892년 마티스는 법률 공부를 포기하고 화가가 되기 위해 파리고 가 1895년 에클 드 보자르의 귀스타브 모로의 수업을 듣게 됩니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대부분 어두운 색조를 띠었습니다. 그러나 브르타뉴에서 여름 휴가를 보낸 후, 그의 색조는 밝고 생생한 컬러로 변하기 시작합니다.. 2022. 11. 15.
독특한 세계를 그려낸, 르네 마그리트 나는 나의 작품을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게 하고 싶다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 1898-1967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는 1898년 벨기에에서 양복재단사인 레오폴 마그리트와 모자 상인인 아들린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화가를 꿈꾸는 그에게 무척이나 인상적인 장면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의 그림에는 종종 양복을 입고 중절모를 쓴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그는 어렸을때부터 그림에 관심이 많았고, 12세부터 그림을 시작하였습니다. 그가 13세이던 해 우울증에 시달리던 엄마가 강물에 몸을 던져 자살을 합니다. 그날 그는 엄마의 하얀 드레스가 얼굴을 덮는 것을 보았고, 사람들은 흰 천으로 얼굴을 감싼 채 키스하는 그림 의 모티브가 엄마의 죽음을 목격한 장면의 연장이라.. 2022. 11. 15.
삶이 곧 초현실주의, 살바도르 달리 “나는 자네의 무의식에 관심이 있는게 아니라 자네의 의식에 관심이 있네”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i 1904~1989 광기와 천재 사이, 초현실주의자 초현실주의는 현실 그 자체보다 더 현실적인 어떤 것을 창조하려는 화가들을 지칭합니다. 대부분의 초현실주의자들은 “깨어 있는 사고가 마비되면 우리들 내부에 숨어 있는 유아성과 야만성이 우리를 지배하게 된다”라고 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생각에 동조하였습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마음 속 깊이 가라앉아 있는 새로운 생각들이 표면으로 떠오를 수 있는 정신 상태를 열망했습니다. 살바토르 달리는 이러한 초현실주의자들을 대표하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는 스스로 ‘천재’라고 명명하며 기행적인 행동을 즐겼습니다. 어렸을 때는 담비 망토에 왕관을 쓴 여왕 차림으로 .. 2022. 11. 15.
가장 따뜻한 엄마와 딸을 그려낸, 메리 커셋 블러바스 오스망 화랑 창문에 전시된 드가의 파스텔화를 처음 보았을 때를 잊을 수가 없어요 나는 내 코가 납작해질 정도로 창문에 얼굴을 붙이고 그의 작품에 열중했어요 그것은 내 인생을 바꿔놨어요 난 예술을 보았고 곧 나는 내가 본 그것을 원하게 되었습니다 메리 커셋 Mary Stevenson Cassatt 1844~1926 화가의 꿈을 이루기까지 메리 커셋은 미국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 유럽 미술관에서 명화들을 접한 뒤 화가의 꿈을 키워왔습니다. 당시 미국 상류층에서 유럽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이 유행이었습니다. 커셋도 일곱 살에 유럽 여행을 떠나 5년간 머무르며 런던, 파리, 베를린 등을 여행했고, 프랑스어, 독일어 등을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11세에 파리국제박람회에서 본 쿠르베의 그림에 .. 2022. 11. 14.
부가티를 모는 여인, 타마라 드 렘피카 나는 사회제도권의 변방에서 살아간다. 내게 일반적인 사회 규칙들은 통용되지 않는다 타마라 드 렘피카 Tamara de Lempicka 1898(추정)~1980 생계를 위해 시작한 그림으로 유명인사가 되다. 타마라 드 렘피카의 본명은 타마라 로잘리아 거르위-고르스카로 폴란드 바르샤바 / 또는 모스코바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시절 유럽여행을 다니며 르네상스 거장들의 작품들을 접했으며, 스위스 로젠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부모의 이혼 후 그녀는 이모가 사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러시아의 변호사이자 사교계에서 인기가 많았던 테데우즈 렘피키를 만나 결혼해 행복한 결혼생활을 보냅니다. 그러나 남편이 볼셰비키 혁명에 연루되어 총살 위기에 처했다가 천신만고끝에 파리로 망명하게 됩니.. 2022. 11. 14.
신비스럽고 상징적인 오키프만의 화풍을 만들어낸, 조지아 오키프 만약 내 그림에서 성적 상징을 보았다면 그것은 그 자신의 집착을 본 것일 뿐 조지아 오키프 Georgia O'Keeffe 1887~1986 '여류'화가이기를 거부한 꽃의 화가 조지아 오키프의 시작은 주류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아직 예술의 중심이 되기 전인 20세기 미국에서, 아직 사회적인 지위를 굳건히 다지지 못한 '여자' 화가로, 뭔가 모더니티하고 형태를 없애야 인기를 얻을 것 같은 미술계에서 '꽃'을 그렸습니다. 오키프는 평생 2백 점이 넘는 꽃그림을 그렸습니다. 그녀의 꽃 그림은 꽃 자체의 생물학적 형태에 추상적인 아름다움이 더해져 더욱 신비로움을 더합니다. 그녀가 꽃 그림을 처음 그리기 시작한 해가 1924년입니다. 영국에서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 된 것이 1918년, 미국에서는 1920년에 여성.. 2022. 11. 13.
반응형